5급 6급 공무원연금 10년 20년 33년 예상 수령액 계산법 계산기 조회 방법 확인하기
오늘은 공무원연금 예상 수령액을 계산 및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의 회사에서 일을 하다 정년퇴직을 하면 국민연금을 수령하고, 공무원으로 일을 하다 정년퇴직을 하면 공무원연금을 수령합니다. 지금 공무원으로 재직하고 계신 분들, 곧 정년퇴직을 앞두고 계신 분들이 추후 공무원연금으로 어느 정도를 수령할지 궁금해하시는 데요.
2024년 공무원연금 인상률 확인하기
공무원연금 계산기
공무원연금 계산 프로그램은 공무원연금 홈페이지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공무원연금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5급 6급 33년 재직 공무원 퇴직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그 후 아래의 경로로 접속하면 공무원연금 모의계산 및 예상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인 내 연금 조회 및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카테고리의 재직공무원 클릭 > 로그인 > 내 연금 보기
교육 공무원연금 수령액 계산법
공무원연금 계산방법을 통해 내가 수령하게 될 연금액이 어느 정도인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연금 수령액은 각 연도별로 설정되어 있는 계산식으로 구한 값을 더해 계산 가능합니다.
각 연도별로 설정되어 있는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무원연금 10년 근무 수령액
① 먼저 20098년 12월 31일 이전 기간 계산식입니다.
1. 20년 이상일 경우 : (평균 보수월액 x 50/100) + (평균 보수월액 x 20년 초과 재직연수 x 2/100)
2. 20년 미만일 경우 : (평균 보수월액 x 재직연수 x 2.5%)
공무원 평균 보수월액이란 ?
공무원 평균 보수월액은 2007년 ~ 2009년까지의 보수월액을 매해 공무원 월급 인상 비율을 고려하여 2009년 말까지 현재 가치로 환산한 후 합한 금액을 재직월수로 나눠 급여사유 발생 시까지 현재 가치로 환산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20년 근무 후 교육 공무원 연금 지급액
② 다음은 2010년 1월 1일 ~ 2015년 12월 31일까지의 계산식입니다.
평균 기준소득월액 x 재직기간별 적용비율 x 재직기간 x 1.9%
공무원 기준소득월액이란 ?
공무원 평균 기준소득월액이란, 2010년 이후 매년도 기준소득월액을 공무원 월급 인상비율 등을 고려하여 급여사유 발생 시까지 현재 가치로 환산한 후 합한 금액을 재직월수로 나눈 금액을 뜻합니다.
공무원연금 재직기간별 적용비율
공무원연금 재직기간별 적용비율은 다음 시행령 부칙 제10조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일반직 30년 근무 공무원연금액
③ 다음은 2016년 1월 1일 이후 기간의 계산 공식입니다.
1. 소득재분배 평균 기준소득월액 x 재직기간별 적용비율
※ 재직기간(30년까지) x 연도별 연금 지급율 中 1%
2. 평균 기준소득월액 x 재직기간별 적용비율
※ 재직기간 x 연도별 연금 지급율 中 1% 초과분
공무원연금 소득재분배 ?
공무원연금 소득재분배란, 연금 지급율 1%에 대하여 공무원 전체의 기준소득월액 평균액(3년) 대비 평균 기준소득월액 비율 구간에 해당하는 소득재분배 적용 비율을 평균 기준소득월액에 곱한 금액을 뜻합니다.
이렇게 ① + ② + ③의 계산 결과를 합한 금액이 내가 수령하게 될 공무원연금 수령액입니다.
'깍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연금 수급자 사망시 공무원 배우자 유족연금 수령조건 및 비율 금액 확인하기 (0) | 2023.11.02 |
---|---|
2023년 2024년 내년도 재직 퇴직 공무원연금 인상률 확인하기 (0) | 2023.11.02 |
국민연금 현재 최고 수령액 최고액 200만원 수령자 최저수령액 평균수령액 알아보기 (0) | 2023.11.01 |
국민연금 장애연금 조건 지급기준 판정기준 금액 확인하기 (0) | 2023.11.01 |
국민연금 수급자 본인 남편 사망시 배우자 유족연금 비율 수령액 지급금액 알아보기 (0) | 2023.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