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깍두기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수령액 계산기 알아보기 간단방법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수령액 계산기 알아보기 간단방법

 

 

오늘은 내가 받게 될 국민연금 수령액이 얼마인지 알아보는 간단한 방법을 공유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국민연금 요율, 소득대체율

 

지금 국민연금 시스템은 보험료율 9%, 소득대체율 43%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보험료율은 내 급여에서 차감되는 비율을 의미하고 소득대체율은 추후 수령하게 될 수령액의 내 평생 소득 대비 비율을 의미합니다.

 

직장가입자 보험료율은 회사 4.5%, 근로자 4.5%로 각 1/2씩 부담을 합니다. 지역가입자 보험료율은 자신이 9%를 다 부담해야 합니다.

 

대한민국의 보험료율은 OECD 국가 평균의 50% 수준입니다. OECD 국가의 평균인 18% 수준으로 납부를 한다면 나중에 수령하게 될 금액은 더욱 높아지겠죠.

 

소득대체율은 22년 기준 42.5%로 계속 감소해 28년도에는 40%가 될 것이라는 예상입니다. 소득대체율이 높은 수준이어야 우리가 수령할 수 있는 국민연금 수령액 역시 많아집니다.

 

국민연금으로 매월 80만원을 수령하려면 매월 다음과 같은 금액을 납입해야 합니다.

 

1개월 급여 1개월 납입 보험료 국민연금 수령액
100만원 9만원(40년 납입) 약 74.1만원
270만원(가입자 평균) 24.3만원(30년 납입) 약 81.4만원
524만원(최고 납입 소득) 47.2만원(20년 납입) 약 80.3만원

 

 

2024년 국민연금 수령액 인상률 알아보기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 결과로 내연금 알아보기

 

20~30년 후 수령할 수 있는 국미연금 수령액을 좀 더 정확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개월 급여 100만원 200만원 300만원 400만원 500만원
1개월 납입 보험료 9만원 18만원 27만원 36만원 45만원
20년 납부 수령액 37.3만원 47.4만원 57.6만원 67.7만원 77.8만원
30년 납부 수령액 55.7만원 70.8만원 86만원 101.1만원 116.2만원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간단방법

 

지금까지 알아본 것은 전반적인 예시 금액이고 본인의 한달 소득 및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입력해 좀 더 정확하게 나의 수령액을 조회하는 곳을 공유 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기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메인 화면의 자주 찾는 서비스에서 내 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모의계산은 로그인과 비로그인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비로그인은 모의계산과 간단계산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먼저 간단계산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예상연금 간단계산은 매월 납입하는 보험료를 입력해 조회하고자 하는 연도의 1월 1일부터 10년 이상 납입한다고 가정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연금 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간단계산을 클릭합니다.

 

 

매월 납입하는 보험료를 입력하고 예상연금액 조회하기를 클릭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10년 ~ 40년 가입했을 때 예상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경우 매월 납입하는 보험료를 20만원으로 입력했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계산기

 

이어서 예상연금 모의계산을 해보겠습니다. 모의계산은 소득과 가입기간을 자유롭게 입력하여 예상연금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모의계산을 클릭합니다.

 

 

 

기본정보, 소득정보, 크레딧 대상을 입력합니다. 소득정보 추가 버튼을 클릭해 추가입력도 가능합니다. 입력을 다 했으면 결과보기를 클릭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본인은 한 달 급여 200만원, 소득상승률 20%로 가입기간 504개월을 설정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간단방법

 

로그인을 하면 좀 더 디테일하게 국민연금 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합니다.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로그인을 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현재가치 예상연금액, 미래가치 예상연금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소득상승률을 직접 선택해 좀 더 디테일한 예상연금액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수급개시년월 확인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