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명퇴수당 퇴직수당 계산방법 지급시기 확인하기
공무원으로 근무 후 퇴직을 하면 다양한 연금과 수당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금과 수당을 수령하면서 여태까지 고생한 본인에게 보상을 해줄 수 있는데요.
오늘은 공무원 퇴직수당 계산방법 및 지급시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무원연금 수령액 계산 및 조회하기
공무원 퇴직수당 퇴직급여 퇴직금
공무원이 퇴직하면 수령할 수 있는 급여는 크게 퇴직급여, 유족급여, 퇴직수당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퇴직급여는 퇴직연금, 유족급여는 유족연금을 뜻합니다.
공무원 퇴직수당이란 ?
보통 회사를 다니는 사람들과는 다르게 공무원은 퇴직급여와는 별개로 퇴직수당이라는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수당 자격조건와 금액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무원 퇴직수당 산정기준
공무원이 1년 이상 재직을 한 다음 퇴직 또는 사망했을 시, 근무기간에 따라 기준소득월액 대비 퇴직수당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근무기간에 따른 기준소득월액 대비 지급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근무기간 | 2009년 이전 | 2010년 이후 |
1년 이상 ~ 5년 미만 | 10/100 | 650/10000 |
5년 이상 ~ 10년 미만 | 35/100 | 2275/10000 |
10년 이상 ~ 15년 미만 | 45/100 | 2925/10000 |
15년 이상 ~ 20년 미만 | 50/100 | 3250/10000 |
20년 이상 ~ | 60/100 | 3900/10000 |
참고로 근무기간은 36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2024년 공무원연금 인상률 확인하기
공무원 퇴직수당 계산법
교육공무원 퇴직수당 계산방법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최종 기준소득월액 x 근무기간 x 근무기간에 따른 지급비율
만약에 2010년 이후 퇴직을 했고 기준소득월액이 200만원이며 근무기간이 7년이라면 퇴직수당은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00만원 x 7년 x 22.75% = 318.5만원
근무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령하게 되는 퇴직수당 비율이 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공무원 퇴직수당 신청기한
공무원 퇴직수당은 따로 신청을 해야 하는데, 퇴직한 일자를 기준으로 5년 안에 신청해야 합니다. 자신이 공단에 직접 신청해야 하고 신청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공단 방문, 우편, 모바일, 인터넷
공무원 퇴직수당 지급시기
공무원 퇴직수당 지급일은 일반적으로 신청 후 30일 안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교육 지방 공무원 명퇴수당 계산방법
교육 공무원 20년 명예퇴직수당 계산방법을 공유 드립니다.
공무원 명예퇴직수당 계산법 산정표 다운로드
'깍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일시금 일시불 수령조건 수령방법 확인하기 (0) | 2023.11.02 |
---|---|
공무원연금 기여금 비율 납입기간 납부기간 평균수령기간 지급일자 확인하기 (0) | 2023.11.02 |
공무원연금 수급자 사망시 공무원 배우자 유족연금 수령조건 및 비율 금액 확인하기 (0) | 2023.11.02 |
2023년 2024년 내년도 재직 퇴직 공무원연금 인상률 확인하기 (0) | 2023.11.02 |
5급 6급 공무원연금 10년 20년 33년 예상 수령액 계산법 계산기 조회 방법 확인하기 (0) | 202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