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상속지분 계산법
법정 상속지분이란, 2명 이상의 상속인이 공동으로 상속재산을 상속받을 시 각 상속인이 상속받을 몫을 의미합니다. 만약에 아버지의 재산을 아내와 자녀 1명이 공동으로 상속받으면 아내와 자녀가 각각 상속받을 비율을 의미합니다.
오늘은 상속지분 계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과 상속지분 계산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가 납부해야 할 상속세 자동계산하기
배우자 법정 상속지분율
배우자 상속지분은 직계비속, 직계존속과 공동으로 상속받을 시 상속분의 50%를 플러스합니다. 직계비속이 받을 상속분이 1이라면, 배우자는 그의 50%를 플러스한 1.5를 받게 됩니다. 이는 민법 제1009조 제2항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상속지분 계산법
예를 들어서 상속지분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사망했고 어머니와 자녀 2명이 그 재산을 상속받는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상속재산가액은 7억원으로 설정하겠습니다.
이때 법정 상속지분율은 어머지 3/7지분, 자녀 2명이 각각 2/7지분입니다. 이를 토대로 상속받을 금액은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배우자 상속지분 : 7억원 x 3/7 = 3억원
- 자녀 상속지분(각) : 7억원 x 2/7 = 2억원
상속지분 계산 프로그램
이처럼 직접 상속지분을 계산할 수 있지만 어렵게 느낄 수도 있습니다. 어렵다고 느껴지신다면 상속지분 계산기를 사용해 간편하게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상속지분 계산기는 대한법률구조공단 홈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법률정보 > 소송비용 등 자동계산을 클릭합니다.
이자 등 계산 > 상속지분 계산을 클릭합니다.
피상속인 관계, 배우자 수, 부모 수, 자녀 수, 상속재산가액 등을 선택 및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클릭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자는 배우자 1명, 자녀 2명, 상속재산가액 5억원으로 입력해 계산했습니다. 결과는 자녀 2명이 각각 약 1억 4,300만원씩, 배우자가 약 2억 1,400만원을 상속받는 것으로 계산되었습니다.
'깍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세 신고 신고대행 세무사 수수료 비용 확인하기 (0) | 2023.11.05 |
---|---|
5억 미만 이하 상속세 신고 안해도 되나요 (0) | 2023.11.05 |
토지 아파트 부동산 상속세 계산방법 과세표준 계산법 확인하기 (0) | 2023.11.05 |
국세청 부동산 상속세 자동계산 모의계산 계산기 프로그램 사용방법 (0) | 2023.11.05 |
국민연금 일시금 일시불 수령조건 수령방법 확인하기 (0) | 202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