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주택 상속세율 확인하기
상속세는 과세표준에 상속세율을 곱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상속세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내가 납부해야 할 상속세가 얼마인지 자동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
내가 납부해야 할 상속세 자동계산하기
토지 상속세율표
상속세율은 10% ~ 50%까지 5단계 초과누진세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상속세율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과세표준 | 상속세율 | 누진공제 |
1억원 이하 | 10% | - |
1억원 초과 ~ 5억원 이하 | 20% | 1천만원 |
5억원 초과 ~ 10억원 이하 | 30% | 6천만원 |
10억원 초과 ~ 30억원 이하 | 40% | 1억 6천만원 |
30억원 초과 | 50% | 4억 6천만원 |
2023년 상속세율 계산
예를 들어 상속세 산출세액을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세표준이 3억원이라고 가정하면 산출세액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과세표준 3억원 X 부동산 상속세율 20% - 1천만원 = 5천만원
예를 들어 과세표준이 20억원이면 산출세액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과세표준 20억원 X 현금 상속세율 40% - 1억 6천만원 = 6억 4천만원
배우자 자녀 손자 상속세율
상속 대상이 배우자인지, 자녀인지, 손자인지 등 대상에 따라 상속세율은 다르지 않고 다 똑같습니다.
상속세율 증여세율
증여세율 정보도 문의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같이 공유 드리겠습니다.
'깍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 아파트 주택 부동산 상속 취득세율 및 취득세 계산 방법 (0) | 2023.11.13 |
---|---|
토지 아파트 상가 등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취등록세 자동계산 계산기 (0) | 2023.11.13 |
국민연금 수령나이에 소득이 있으면 수령중 소득발생 등 수령액 감액기준 확인하기 (0) | 2023.11.12 |
국민연금 추납제도 추납 추가납입 신청방법 및 납입금액 가능기간 연말정산 확인하기 (0) | 2023.11.12 |
유족연금과 본인 국민연금 선택 기준 (0) | 202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