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연금 추납방법 확인하기
국민연금 수령액을 늘리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 국민연금 추납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가 받게 될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하기
국민연금 추납제도 신청
국민연금 추가납입 제도는 실직, 폐업, 경력절단 등의 이유로 납부하지 못한 기간의 요금을 추후 납입해 가입기간을 늘리는 제도입니다.
납입하지 못한 기간이 길수록 금액 역시 큽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연금 추가납입을 하려면 꽤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추후납부 제도의 장점은 분할납부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분할납부를 하면 부담이 줄어들죠.
국민연금 추가납입 방법
국민연금 추후납부 신청을 하려면 일단 납부예외, 적용제외 이력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납부예외, 적용제외 기간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납부예외 기간 : 국민연금에 가입을 되어 있는데 소득이 존재하지 않아 요금을 납부하지 못한 기간
2. 적용제외 기간 : 요금을 1개월이라도 납부했지만 경력단절 등의 이유로 적용제외된 기간
국민연금 추납 가능기간
납부예외, 적용제외 기간이 있다고 해도 해당 기간 모두 신청할 수는 없습니다. 최대 119개월까지만 국민연금 추납제도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신청은 국민연금 가입중일 때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추납제도 납입금액
국민연금 추가납부 금액은 신청할 때의 요금에다가 추납하려고 하는 개월수를 곱한 금액입니다. 예시를 공유 드리니 참고 바랍니다.
예를 들어 추납신청을 하는 시점에 매달 90,000원씩 납입하고 추납 신청기간이 1년이면, 90,000원 X 12개월 = 108만원을 납입하면 됨
단, 임의가입자의 추납요금은 A값의 9%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A값은 22년 기준 2,681,724원입니다. 이 금액의 9%는 대략 241,355원입니다. 임의가입자의 추납요금은 241,355원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국민연금 추납제도 납입금액은 일시불, 분할납부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분할납부는 최대 60회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단, 정기예금 이자를 추가납부해야 합니다.
국민연금 추납 단점
국민연금 추납 단점을 문의주시는 분들이 있는데, 단점은 따로 없을 듯 합니다. 국민연금 추후납부 제도는 연금 수령액을 늘리기 위한 제도이고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분들이 신청하는 제도입니다.
국민연금 추납 취소
국민연금 추납제도는 일단 신청을 하면 납입금액 변경이나 취소가 불가합니다. 그러므로 신청을 하기 전에 신중하게 생각하고 결정해야 합니다.
국민연금 추가납부 연말정산 추가납입 소득공제
국민연금 추가납부는 요금을 납부한 년도의 종합소득 금액에서 전액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추가납부 서류
국민연금 추납 신청방법은 온라인/오프라인으로 진행 가능합니다. 오프라인은 공단 지사 방문, 우편, 팩스 등으로 진행할 수 있고 준비해야 하는 서류는 혼인관계증명서 상세입니다.
혼인관계증명서 상세는 근처 주민센터, 무인발급기,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홈페이지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추납제도 신청방법
신청은 공단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납부예외, 적용제외 기간 확인방법도 같이 공유 드리겠습니다. 공단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우측 상단 전자민원이용(로그인필요)를 클릭합니다.
개인인증을 클릭합니다.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개인서비스를 클릭합니다.
신고/신청을 클릭합니다.
추납 신청을 클릭합니다.
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연락처 등록 및 SMS 수신 신청 정보, 이메일 서비스 등의 정보를 입력한 다음 신청서 작성하기를 클릭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추납 신청대상기간, 분할납부 가능횟수, 신청 기준소득월액, 요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조회를 클릭해 추납 희망기간 유효월을 확인한 다음, 추납 희망기간/요금 납부방법을 입력합니다. 전자고지 신청을 하시려면 전자문서, 이메일을 입력하면 됩니다.
자동이체 신청 정보를 입력합니다.
동의 후 혼인관계증명서 상세를 첨부하고 신청버튼을 클릭하면 추납신청이 완료됩니다.
'깍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농지 주택 등 부동산 상속세율 증여세율 상속세율표 확인하기 (0) | 2023.11.13 |
---|---|
국민연금 수령나이에 소득이 있으면 수령중 소득발생 등 수령액 감액기준 확인하기 (0) | 2023.11.12 |
유족연금과 본인 국민연금 선택 기준 (0) | 2023.11.09 |
국민연금 이혼 후 이혼시 분할 시기 배우자 신청 수령 확인하기 (0) | 2023.11.09 |
국민연금 100만원 받으면 수령시 수급자 노인 기초연금 기초노령연금 수령불가 한지 확인하기 (0) | 202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