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깍두기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연계 통합 동시수령 공적연금 연계제도 홈페이지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연계

 

 

대학교를 졸업하고 나서 직장에 들어가 5년 정도 일을 하다가 아무리 생각해도 아닌 듯 하여 공무원시험 준비를 했고 합격을 했습니다. 그리하여 공무원연금에 가입을 했는데, 이전에 직장생활할 때 가입했던 국민연금은 어떻게 될까요?

 

아마 이러한 상황에 있으신 분들은 많이 궁금하실 것입니다. 직장생활을 하다가 공무원이 된 사람, 공무원을 하다가 직장인이 된 사람들입니다.

 

오늘은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동시수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에 앞서 내가 받게 될 국민연금 수령액이 얼마인지 조회해보시길 바랍니다.

 

나의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하기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통합

 

국민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최소 가입기간 10년을 충족해야 합니다. 공무원 또한 공무원으로 10년 이상 재직해야 공무원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국민연금 또는 공무원연금에 가입한 기간이 10년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연금이 아닌 반환일시금으로 수령하게 됩니다.

 

 

공적연금 연계제도

 

이와 같은 부분을 케어하기 위해 09년 8월부터 공적연금 연계제도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공적연금 연계제도는 국민연금, 공무원연금의 가입기간을 합친 기간이 20년 이상이면 65세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게 해주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5년이고, 공무원연금 가입기간이 15년이면 65세가 되었을 때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을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공적연금 연계제도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국민연금을 연금으로 수령하지 못하고 반환일시금으로 받아야 했죠.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연계 신청대상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통합 신청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09년 8월 7일 이후 연금제도 간 이동한 경우
- 국민연금 가입자였던 사람이 07년 7월 23일 이후 직역연금으로 이동한 경우
- 09년 2월 6일 당시 각 연금에 가입했던 사람이 그 후 다른 직역연금 또는 국민연금으로 이동한 경우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동시수령 신청 시점

 

공적연금 연계제도를 신청하는 시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국민연금 > 직역연금 : 직역연금 가입자가 되었을 시(신청기한 : 국민연금 수급권 소멸 전)
2. 직역연금 > 국민연금 : 국민연금 가입자가 되었을 시(신청기한 : 퇴직일시금 수령한 경우 국민연금 수급권 소멸 전, 퇴직일시금 수령하지 않은 경우 퇴직일 기준 5일 내)

 

 

공적연금 연계 홈페이지

 

공적연금 연계제도 신청은 공적연금 연계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습니다. 해당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신청마당 > 연계신청을 클릭합니다.

 

 

로그인 후 절차대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공적연금 연계제도 예상연금 조회

 

 

모의계산을 통한 연금보기 > 예상연금 조회를 클릭합니다.

 

 

연금 모의계산을 클릭합니다.

 

 

생년월일, 국민연금 근무이력을 입력한 다음 본인이 가입한 연금공단 추가를 합니다.

 

 

추가한 연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 다음 보수인상률/물가인상률을 작성하고 내 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예상연계연금액, 연금 수급개시년월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결과 세부내역 보기를 클릭하면 좀 더 디테일한 내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