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깍두기

눈에 날파리 현상 주의

이전에는 그렇지 않았는데 난데없이 눈에 날파리 현상이 나타나 시선을 이동할 때마다 같이 움직인다면 신경이 쓰이고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가지고 있는 질환을 비문증이라고 부릅니다. 




사람의 안구 내부에는 젤리와 비슷한 물질이 들어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유리체라는 이름을 붙여서 부르고 있는데, 눈알 크기의 약 70 percent를 이루고 있고 이 물질의 90 percent는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에 이러한 유리체가 나이가 들게 되면 눈에 날파리 현상, 비문증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40살이 넘어서는 시점을 기준으로 유리체가 나이를 먹게 되고 물로 변하게 되거나 망막과 떨어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렇게 서로 떨어지는 상황이 전개되게 되면 본래의 원형 형태가 망가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시각 신경 근처에 자리를 잡고 있던 교원질 섬유가 분리되는 일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렇게 분리가 되게 되면 해당 물질은 안구 내부에서 이물질 상태가 되어 돌아다니게 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가리게 되면 그림자가 형성되어 망막에 보이게 됩니다. 이 때 바로 해당 포스팅에서 다루고 있는 눈에 날파리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비문증은 해당 이물질의 형태에 따라서 제각기 다른 형상을 띄어 우리 눈에 비치게 됩니다. 65살은 넘은 사람에게서 약 41 percent 정도가 교원질 섬유와 망막이 분리되는 상태가 발생하게 되고 그 중에서 약 80 percent 정도가 눈에 날파리 현상을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비문증은 유리체 또는 망막에서 피가 나게 되는 상황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피가 나게 되어도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눈에 날파리 현상이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망막에 hole이 생성되거나 분리되는 경우에도 해당 질환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거의 모든 비문증은 유리체가 나이를 듦에 따라서 나타나는 질환이기 때문에 시력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허나 눈에 날파리 현상의 원인이 망막이 분리되어 나타나는 경우에는 안구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더군다나 근시를 보유하고 있거나 안구 부분을 다친 적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주의를 해야겠습니다. 




그리고 비문증은 안구 내부에서 발생한 염증으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리체가 나이를 들어서 나타나는 눈에 날파리 현상의 경우에는 반년 정도의 시간이 지났을 때 약 70 percent에서 80 percent의 사람들이 증상이 호전되는 상태를 보입니다. 




그렇지만 난데없이 눈에 날파리 현상이 엄청 많이 나타나거나 커튼을 친것 마냥 어두워지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주의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