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용직 국민연금 가입기준 확인하기
현재 건설 현장에서 일용직으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에 가입을 해서 노년기를 대비하고 싶은데 일용직도 국민연금 가입이 가능한가요?
정규직으로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루 하루 일용직으로 일을 하는 분들 중 이러한 궁금증을 갖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일용직으로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있는지 말이죠.
오늘은 일용직, 아르바이트 국민연금 가입기준 및 계산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가 받게 될 국민연금 수령액이 얼마인지 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
내가 받게 될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하기
일용직 국민연금 가입대상
일용직도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건설 현장별 회사 단위로 적용되고 1개월 간 출근일수가 8일 이상이면 직장가입자로서 국민연금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18.08 이전에는 일용직은 1개월 간 20일 이상 일을 해야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있었지만 그 이후부터 8일 이상으로 완화되었습니다.
더불어 이와 같은 8일 이상 근무일수 조건과 상관없이 1개월 소득이 220만원 이상이거나 1개월 근무시간이 60시간 이상이면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일용직 국민연금 계산방법
한편, 18.08 이전에는 지역가입자로서 기준소득월액의 9%에 해당하는 요금을 모두 일용직 본인이 부담했지만, 그 이후부터는 직장가입자로서 회사와 50%씩 부담하여 4.5%에 해당하는 요금만 본인이 부담하면 됩니다.
일용직 국민연금 가입기준 정보를 총 정리해보았습니다.
구분 | 가입자격 | 1개월 필요 근무일수 | 본인 부담 요율 |
2018.08 이전 | 지역가입자 | 20일 이상 | 9% |
2018.08 이후 | 직장가입자 | 8일 이상 | 4.5%(회사 4.5%) |
예를 들어 본인이 일용직으로 1개월에 100만원을 번다면 그의 9%인 9만원 중 4.5%인 4만 5천원을 자신이 납입하는 것입니다. 회사가 남은 반을 부담해 결과적으로 본인의 이름으로 국민연금에 납입된 금액은 9만원입니다.
2024년 국민연금 수령액 인상률 확인하기
일용직 국민연금 가입대상 - 근로계약서 작성 유무
그런데 일용직으로 일을 할 때 근로계약서를 작성했는지 안 했는지에 따라 가입기준이 조금 달라집니다. 해당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경우 : 1개월 이상 출근하면서 1개월에 8일 이상 출근하거나 60시간 이상 근무하도록 계약했을 때 실제 근무기간 및 고용기간과 상관없이 가입대상
2.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거나 소정 근로시간을 알 수 없는 경우 : 1개월 이상 출근하면서 회사에 고용된 일자부터 1개월에 8일 이상 출근하거나 60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건설 현장의 경우 1개월 이상 출근하고 1개월 8일 이상 출근 시 해당)
그러니까 근로계약서를 작성했으면 위의 계약조건을 충족할 시 실제 출근을 한 기간 및 근무시간과 상관없이 가입할 수 있고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으면 출근기간 및 근무시간을 충족해야 가입할 수 있습니다.
아르바이트 국민연금 가입기준
대학생 등 알바 국민연금 가입대상 역시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경우와 작성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상세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경우 : 근로계약서상 고용기간이 1개월 이상이고 1개월 60시간 이상 근무할 시
2.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 : 실제 고용기간이 1개월 이상이고 1개월 60시간 이상 근무할 시
한편, 일용직 관련 국민연금 개정은 18.08을 기준으로 입찰공고 또는 계약을 맺은 건설 공사에 적용되며 그때 진행중이었던 건설 공사에 대해서는 2년 간 유예기간이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20.07에 유예기간이 종료되었습니다. 그러므로 20.08부터 전체 건설 일용직 국민연금 가입기준이 완화되어 모두 직장강비자로 가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밖에 건설 일용직 국민연금과 관련해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면 1355번 공단으로 전화해 문의해보시길 바랍니다.
'깍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선납제도 선납할인 일시 일시불 납부 방법 확인하기 (0) | 2023.11.20 |
---|---|
1인 개인사업자 국민연금 의무가입 수령조건 확인하기 (0) | 2023.11.20 |
국민연금 조기수령시 소득이 있는 경우 지급정지 기준 (0) | 2023.11.20 |
공무원연금 개혁안 내용 명퇴수당 폐지 적용시기 확인하기 (0) | 2023.11.20 |
국민연금 몇살까지 언제까지 내나요 65세까지 납부 (0) | 2023.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