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깍두기

1인 개인사업자 국민연금 의무가입 수령조건 확인하기

1인 개인사업자 국민연금 의무가입 해야 하는지 확인하기

 

 

개인사업을 계획중인데 매출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국민연금까지 납부를 하려면 부담이 될 수도 있습니다. 매번 적자인 상황 속에서 국민연금을 납부할 여유가 없는 것이죠.

 

그리하여 많은 분들이 개인사업자가 국민연금을 의무적으로 가입을 해야 하는 것인지 질문을 주시는 데요.

 

오늘은 개인사업자 국민연금 의무가입 및 수령조건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내가 받게 될 국민연금 수령액이 얼마나 되는지 조회해보시길 바랍니다.

 

내가 받게 될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하기

 

 

1인 개인사업자 국민연금 의무가입

 

개인사업자 대표는 국민연금에 의무적으로 가입을 해야 합니다. 직원 여부에 따라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등 가입구분이 달라집니다.

 

직원이 없는 개인사업자 대표는 지역가입자로서 국민연금 가입을 해야 합니다. 지역가입자로 가입하면 보유 재산과 월 소득에 따라 납입 요금이 산출됩니다.

 

 

직원이 있는 개인사업자 국민연금 의무가입

 

직원을 1명 이상 채용하고 있는 개인사업자는 직장가입자로서 국민연금 가입을 해야 합니다. 이때 취득 금액은 급여가 제일 높은 직원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금액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보통 동일한 금액으로 취득신고를 합니다.

 

 

2024년 국민연금 수령액 인상률 확인하기

 

 

국민연금 개인사업자 미납시 압류

 

개인사업자 국민연금 가입 후 경영상 문제로 인해 미납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본인 명의의 예금통장이 압류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개인사업자 국민연금 탈퇴방법

 

탈퇴는 폐업 사유가 발생한 달의 다음 달 15일까지 사업장 탈퇴 신고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1355번 공단으로 문의해보시면 되겠습니다.

 

 

개인사업자 국민연금 수령조건 계산

 

개인사업자라도 따로 국민연금 수령조건이 있지는 않습니다. 보통 수령조건과 같이 수령나이가 되었을 때 수령할 수 있습니다.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면 연금으로, 10년 미만이면 일시금으로 수령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