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이전 이후 1997년 공무원임용자 공무원연금 수령시기 수령나이 지급개시연령 확인하기
은퇴를 하고 나서 노후가 되었을 때 일반 직장인, 사업자들은 국민연금을 수령하지만 공무원들은 공무원연금을 수령합니다. 공무원연금 지급률이 국민연금 지급률보다 높아 관련하여 말들이 많죠.
내가 받게 될 공무원연금 수령액이 얼마인지 조회해보시길 바랍니다.
나의 공무원연금 수령액 조회하기
경찰 교육공무원 연금 수령시기 지급시기
오늘은 공무원연금 수령나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무원으로 10년 이상 근무를 하고 퇴직하면 공무원 지급개시연령에 따라 사망할 때까지 퇴직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1996년 1997년 공무원임용자 연금 수령시기
공무원 연금 수급개시연령은 1996년 이후 임용자부터 65세로 단계적 연장됩니다. 퇴직연도에 따른 공무원 퇴직연금 지급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퇴직연도 | 공무원연금 지급개시일 |
2016년 ~ 2021년 | 60세 |
2022년 ~ 2023년 | 61세 |
2024년 ~ 2026년 | 62세 |
2027년 ~ 2029년 | 63세 |
2030년 ~ 2032년 | 64세 |
2033년 ~ | 65세 |
공무원연금 신청시기
60세미만 정년, 계급정년, 직제정원 개폐로 인하여 퇴직했을 때 퇴직연도에 따른 공무원연금 수령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퇴직연도 | 공무원연금 지급개시일 |
2016년 ~ 2021년 | 퇴직 시 |
2022년 ~ 2023년 | 퇴직 후 1년 |
2024년 ~ 2026년 | 퇴직 후 2년 |
2027년 ~ 2029년 | 퇴직 후 3년 |
2030년 ~ 2032년 | 퇴직 후 4년 |
2033년 ~ | 퇴직 후 5년 |
2024년 공무원연금 인상률 확인하기
96년 이전 임용 공무원 연금 지급개시연령
정확하게 말하면 95년 이전 임용자는 아래와 같이 지급됩니다.
- 2000년말 재직기간이 20년 이상인 공무원, 2000년말 현재 재직기간이 20년 미만인 공무원이 20년 미만의 2배 이상을 근무하고 퇴직했을 시 나이와 상관없이 바로 개시
※ 예) 2000년12월 현재 13년 재직한 공무원이 2014년 12월에 퇴직했을 시 2015년 1월부터 연금 개시
> 2000년 12월 + 14년(20년 - 13년 = 7년 x 2) = 2014년 12월이므로 해당 월까지 근무했을 때 나이가 상관없음
교육 공무원 퇴직연금 지급개시연령
혹시 장애가 있다면(장해등급 1급 ~ 7급) 지급개시연령이 되지 않아도 장애확정일 다음 달부터 연금이 개시됩니다.
'깍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안심통장 압류방지통장 개설방법 확인하기 (0) | 2023.11.14 |
---|---|
국민연금 유족연금 수령조건 신청서류 확인하기 (0) | 2023.11.14 |
상속세 배우자공제 일괄공제 배우자 상속공제 한도 확인하기 (0) | 2023.11.14 |
아파트 현금 1억 2억 3억 4억 7억 8억 10억 20억 30억 상속세 계산하기 (0) | 2023.11.14 |
상속 재산 등기 취득세 신고기간 신고서류 납부방법 감면 대상 확인하기 (0) | 2023.11.13 |